본문 바로가기

게임 공략/모바일

듀랑고 '브라키오' 패턴 분석과 잠재 가죽 팁

반응형

오늘은 모바일 게임 '듀랑고'에서 좋은 장비를 얻기 위해 사냥하는 '브라키오'에 대해

패턴을 분석하고 가죽 정보에 대해 분석하려고 합니다.


이미 '브라키오'는 많은 유저가 잡고 있고 패턴도 단순하기 때문에 공략글을 작성하지 않았는데

생각보다 많은 신규 유저분들이 어려워 하는 것 같아서 분석하게 되었습니다.


브라키오를 잡는 이유는 기본적인 '질김' 속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질김 속성은 방어구로 제작시 방어 증가(방증) 효과로 변화 시켜 주기 때문에 많은 유저가 장비를 업그레이드 하기 위해 사냥을 합니다.


브라키오는 어디서 출현할까?



브라키오는 유저간의 결투, 거점 방어를 하는 '무법섬'에서 출현합니다.


지역은 '열대 지역'에서 출현하니 온대 지역으로 가시는 분들은 없길 바랍니다.


레벨 61 브라키오의 경우 '바나나 크레이터'에서 출현하며 58렙이 경우 필드를 돌아 다니다보면 발견하게 됩니다.


현재 60상아는 지원 퀘스트를 통해서만 획득 가능하기 때문에 경쟁이 적은 58렙의 브라키오를 잡는 경우가 많습니다.


브라키오의 패턴 공략은?


많은 분들이 브라키오의 패턴은 2가지로 알고 있지만 브라키오의 패턴은 3개의 패턴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나는 두 다리를 들고 찍는 패턴, 두 번째는 꼬리를 조금만 들어 몸통을 치는 패턴, 세 번째는 꼬리를 몸통쪽까지 휘어 꼬리를 치는 패턴입니다.


보통은 두 다리를 찍는 패턴, 꼬리치기 이렇게 두 가지로 묶어서 판단하기 때문에 두 가지 패턴으로 오해 할 수 있으나 총 세 가지 패턴입니다.


게다가 이 세 가지 패턴은 구르기를 사용하지 않고 무빙으로 피할 수 있습니다.



다리 들기의 경우 앞으로 찍어내리면서 전방으로 움직이게 됩니다. 그러니 반대편으로 뛰어 주면 충분히 피할 수 있습니다.



작은 꼬리치기의 경우 배 밑에 있으면 범위가 맞지 않습니다.



큰 꼬리 치기의 경우 몸통까지 공격 범위가 되기 때문에 앞 다리까지 이동하면 피해집니다.


안전하게 사냥하고 싶으신분은 브라키오의 패턴이 구르기 쿨타임보다 길게 적용 되기 때문에 구르기로 피하셔도 됩니다.


단 주의 할 점은 구르기 활성 중 어택을 하게 되면 크로스 카운터가 작용하기 때문에 구르기를 누르고 무빙을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브라키오의 가죽은 어떤 것을 모아야 할까?


가죽에는 잠재 옵션이라는 것이 붙습니다. 잠재 옵션은 말 그대로 채집 시 일정 확률로 나오는 옵션입니다.


제일 활용도와 비싸게 거래 되는 가죽은 '질김 10 + 대성공' 가죽입니다. 대성공의 경우 가공이 1회 추가 되기 때문에 가죽 가공을 1회 더 할 수 있어 18방증 방어구를 제작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질김 10'의 가죽도 16방증 방어구를 제작 할 수 있기 때문에 꼭 챙기시길 바랍니다.


요즘은 높은 마찰력을 착용한 궁수 때문에 PVP에  사용 되는 '질김6 + 가벼움 4 + 대성공'도 비싸게 거래 됩니다. 방증, 회피를 같이 높일 수 있는 방어구로 제작됩니다.


'질김6 + 높은 마찰력 4 + 대성공', '질김6 + 높은 마찰력 4'의 경우 방어구로 제작하면 다운 저항의 옵션이 붙기 때문에 꼭 챙기시길 바랍니다.


다른 잠재 옵션도 제작하는 장비에 따라 활용이 되지만 거래가 활발한 잠재 가죽만 나열해봤습니다.




꾸오기  유튜브 구독 : https://goo.gl/njz8PE


찾아 주셔서 고맙습니다.


도움이 되었다면 꾸오기TV 구독 꾸~욱 부탁드립니다.


 공감과 댓글 부탁드립니다.



반응형